‘My children’ 다음 ‘like’에는 ‘s’가 붙지 않나요?
‘children’은 복수형이기 때문에 ‘like’라는 동사 끝에 ‘s’가 붙지 않아요. 반면에 ‘child’는 단수형이므로 ‘likes’라고 써야 합니다.
‘children’은 복수형이기 때문에 ‘like’라는 동사 끝에 ‘s’가 붙지 않아요. 반면에 ‘child’는 단수형이므로 ‘likes’라고 써야 합니다.
‘be 동사’는 ‘am’, ‘is’, ‘are’ 뿐만 아니라 ‘was’, ‘were’, ‘be’, ‘being’, ‘been’도 포함돼요. 하지만 ‘be’, ‘being’, ‘been’은 단독으로 문장을 만들지 않아요. 예를 들어, ‘I being’은 틀린 표현이고, ‘I am being’이 올바른 표현이에요.
운동 종목에서 ‘Do’, ‘Go’, ‘Play’의 사용은 종목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Do’는 ‘요가를 하다’와 같이 운동을 직접 수행하는 행동에 사용되며, ‘Go’는 ‘수영을 하러 가다’와 같이 어떤 장소로 가서 운동을 하는 행동에 사용됩니다. ‘Play’는 ‘축구를 하다’와 같이 팀으로 하는 운동이나 게임에 주로 사용됩니다.
장군상을 영어로 표현할 때는 대부분 ‘a/the statue of~’ 패턴을 사용해요. ‘The Statue of General Lee’는 특정한, 유일한 이순신 장군상을 의미하고, ‘A statue of General Lee’는 이순신 장군상이 여러 개 있을 때 그 중 하나를 가리킵니다.
네, ‘to + 동사’ 패턴은 ‘~하기 위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데, ‘I do yoga to relax’와 ‘I stop to drink a coffee’에서도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하지만 ‘I stop to drink a coffee’는 조금 부자연스러운 표현이에요. 보통은 ‘I stop to drink coffee when I’m tired.’와 같이 언제 멈췄는지 추가하는 표현을 사용해요.
‘Ice’는 얼음 조각이나 큐브 등을 특정하면 가산명사로 쓸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얼음’을 의미할 때는 불가산명사로 사용됩니다.
‘No, I haven’t’와 ‘I don’t have’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I don’t have ~’는 ‘나는 ~가 없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No, I haven’t’는 ‘나는 ~한 적이 없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from’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전치사로, ‘출신’을 의미할 때와 ‘으로부터’를 의미할 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I’m from Korea.’에서 ‘from’은 ‘출신’을 의미하고, ‘The cockerel crows from my shed.’에서 ‘from’은 ‘으로부터’를 의미해요.
‘Are you going to your yoga class tonight?’라는 문장에서 ‘going to’ 다음에 ‘go to’가 들어가지 않아요. 이 문장은 ‘너 오늘 너의 요가 수업에 가?’라는 뜻이에요. ‘Are you go to’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네, ‘Ice cream’과 ‘Pizza’는 불가산 명사에요. 하지만 ‘한 스푼의 아이스크림’, ‘한 컵의 아이스크림’, ‘한 콘의 아이스크림’처럼 양을 특정해서 표현할 수 있어요. ‘피자’도 마찬가지로 ‘한 판의 피자’, ‘한 조각의 피자’처럼 표현할 수 있지만, ‘피자’라는 것 자체를 세는 것은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