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말하면서 배우는 영어 스픽입니다. 오늘은 ‘~해야만 한다’ 라고 배웠던 ‘Should’ 와 ‘Have to’ 의 차이에 관해서 공부해볼 거예요. 중급 영어 이상부터는 단어의 뜻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영어로 미묘한 차이, 뉘앙스를 캐치하는 것이 더 중요하답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Should’ 는 권장, 제안 ‘Have to’ 는 의무!
‘Should’ 는 ‘해야만 해!’ 이런 느낌보다는 ‘~하는 게 좋겠어’ 정도의 조심스럽게 권장하는 느낌에 가까워요. 저도 뉘앙스 상관 없이 ‘~해야만 한다’ 라고 무작정 암기했던 때가 있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영어로 이렇게나 다른 표현을 분별없이 썼다는 사실이 좀 부끄러워요.
‘Have to’ 는 ‘~해야 돼’ 라며 의무를 표현할 때 쓰여요. 간단한 문장으로 살펴보자면, ‘I should go.’ 와 ‘I have to go.’ 의 느낌이 살짝 달라요. 첫 번째는 ‘나 가봐야겠어.’, 두 번째는 ‘나 가야 돼.’ 라는 뜻이에요. 한 끗 차이로 ‘Should’ 와 ‘Have to’ 의 의미가 조금 달라지는 게 느껴지시나요?
활용법
초보자분들은 사실 혼용해서 쓰셔도 큰 무리는 없지만 이러한 차이 때문에 종종 오해가 생기곤 해요. 그래서 중급 레벨 이상의 영어를 구사하신다면 꼭 구분해서 사용해주시는 게 좋아요. 아직 ‘Should’ 와 ‘Have to’ 의 차이를 잘 모르시겠다면 예문을 좀 더 보여드릴게요.
예문
- You should wear a suit tomorrow.
(넌 내일 정장을 입는 게 좋겠어.) - You have to wear a suit tomorrow.
(너 내일 정장을 입어야 돼.) - I should go to bed now.
(난 지금 자는 게 좋겠어.) - I have to go to bed now.
(난 지금 자야만 해.) - I should get some rest.
(난 휴식을 취하는 게 좋겠어.) - I have to get some rest.
(난 쉬어야만 해.)
‘Should’, ‘Have to’ 차이를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해보세요
오늘 포스팅으로 이제 ‘Should’ 와 ‘Have to’ 의 차이는 완벽히 이해하게 됐으니, 실전에서 실수하지 않는 게 중요하겠죠? 영어는 눈으로 읽는 것보다 직접 말하면서 배워야 늘어요! 그럼, 오늘 배운 표현을 스픽에서 직접 영어로 스피킹 하면서 익혀보시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