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말하면서 배우는 영어 스픽입니다. 여러분은 긴 이야기를 짧게 말할 때, 요점만 말할 때 ‘간단히 말하자면’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시죠? 이 표현을 영어로는 어떻게 말하는지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알아볼까요?
‘간단히 말하자면’ 은 영어로 Long story short
‘간단히 말하자면’ 은 영어로 ‘Long story short’ 라고 말해요. 너무 간단해서 어이가 없으면서도 웃기지 않나요? 개인적으로 말 뜻 그대로 표현도 간단해서 제 좋아하는 표현 중 하나에요. 여자친구랑 싸우다 결국 헤어졌을 때, 모든 상황을 설명하긴 너무 길고 ‘거두절미하고 우리 헤어졌어.’ 이런 말을 하고 싶을 때 딱 적당한 표현이에요.
같은 표현으로는 ‘To make a long story short’, ‘To cut a long story short’ 가 있어요. 예전 포스팅에서 배운 ‘본론으로 들어가다’ 라는 뜻의 ‘To cut to the chase’ 와 같은 맥락이죠.
활용법
앞뒤로 아무것도 붙여주실 필요 없고 정말 ‘Long story short’ 이거 하나만 갖다 붙이면 원어민 느낌 나는 그럴싸한 문장이 된답니다. 정말 간단하죠? 무언가 단도직입적으로 말하고 싶을 때, 서론은 생략하고 바로 본론으로 넘어가고 싶을 때 쓰는 표현이에요. 그럼 우리도 거두절미하고 예문으로 넘어가볼까요?
예문
- Long story short, we broke up.
(간단히 말하면, 우리 헤어졌어.) - Long story short, I want to work with you.
(간단히 말해서, 당신과 함께 일하고 싶어요.) - To make a long story short, the date didn’t go well.
(간단히 말해서, 데이트 잘 안 됐어.) - To make a long story short, they decided to get back together.
(간단히 말해서, 그들은 재결합 하기로 했어.) - To make a long story short, she did not make her flight.
(간단히 말해서, 그녀는 비행기를 탈 수 없었다.)
‘간단히 말하자면’ 을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해보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거두절미하고 본론을 바로 말할 때 쓰는 ‘간단히 말하자면’ 이라는 표현을 영어로 배워봤어요. 예문 마지막 문장의 ‘Make her flight’ 는 ‘비행기를 만들다’ 라는 뜻이 아니라 ‘해내다, 성공하다’ 라는 뜻의 ‘Make it’ 을 염두에 두고 해석해서 ‘비행기를 탈 수 없었다’ 라고 해석하시면 돼요.
영어는 눈으로 읽는 것보다 직접 말하면서 배워야 늘어요! 그럼 오늘 배운 표현을 스픽에서 직접 영어로 스피킹 하면서 익혀보시는 건 어떨까요?